우리는 도커 간 파일을 직접 수정했다[참고]. 도커에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, File System 안으로 접근해서 index.html파일을 수정하는 형태로 진행했다. 하지만 컨테이너가 삭제된다면 어렵게 작업한 내용이 전부 날라가게 된다. 컨테이너가 사라지지 않게 설정하면 되기는 한다. 그러나 우리는 컨테이너를 필요할 때 마음대로 생성하고, 삭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 처럼 컨테이너의 File System 안에 존재하는 /usr/local/apache2/htdocs/ 와 Host의 File System이 서로 연결되고, Host에서 수정한 내용이 컨테이너에서도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면 컨테이너가 날라가더라도 우리의 소스코드는 Host에 남아있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개발을 진행할 수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