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ents 백준이나 코드업 등 코딩 테스트에서 진행하는 알고리즘들에서 빅오(Big-O)라는 단어는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. 그렇다면 빅오메가, 빅세타는 무엇일까? 먼저 빅오부터 알아보자. 빅-오(Big-O) 빅오는 코딩 테스트에서 시간복잡도를 다룰 때 주로 사용된다. 대개 최악의 경우를 의미하며, $\text{O(n)}, \text{O(n log(n)} $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. 예를 들어, 입력값 $n$에 대해서 $4n^2 + 3n + 4$ 번 만큼 계산하는 함수가 있다면, 최고차항만 고려하고 계수는 무시한다. 즉, 이때의 시간 복잡도는 $\text{O}(n^2)$이 되는 것이다. $\text{O}(1)$대부분 $\text{O}(\text{n})$을 기준으로 빠름을 나눈다. \[ \text{O}(..